"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눅 15:21)
아버지가 그를 맞으러 달려 나가서 그의 목을 끌어안고 입을 맞춘 것은 탕자가 회개하고 돌아올 때 비로소 이루어졌습니다. 회개가 있기 전에 먼저 용서를 베풀었다면 그것은 의로운 처사가 아니었을 것입니다. 성경의 원칙은"... 회개하거든 용서하라."입니다. (눅 17:3)
탕자가 먼 나라에 있는 동안 아버지가 그에게 도움을 보냈다는 기록은 일절 없습니다. 만일 그렇게 했다면, 그것은 그 거역자의 삶 속에서 행해질 하나님의 역사를 방해했을 것입니다. 주님의 목적은 그 완고한 자를 철저히 무력한 상태로 끌어내리는 것이었습니다. 그분은 탕자가 자기 포기 상태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과, 그는 밑바닥에 내려가기 전에는 결코 올려다볼 수 없으리라는 것을 아셨습니다. 그 방황자가 그런 상태에 속히 이르면 이를수록 그는 속히 회복할 준비를 갖추게 됩니다. 이에 아버지는 그의 아들을 주님께 맡기고 그러한 철저한 참회의 순간이 오기를 기다려야만 했습니다.
이것은 부모에게(특히 어머니들에게) 가장 하기 어려운 일 중 하나입니다. 우리의 본성은 거역한 아들 딸을 주님께서 내리신 모든 징계조치에서 구제해 주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부모들이 해내는 일은 주님의 목적을 방해하고 그 사랑하는 자녀의 고통을 연장시키는 것뿐입니다.
스펄전은 말하기를, "잘못을 행한 자들에 대한 가장 진실한 사랑은 그들과 친근히 지내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일에 예수님께 충성하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범죄 한 사람을 계속 그 가운데 머물게 하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사랑은 그 사람을 주님께 맡기고, "주님, 어떤 희생이 있더라도 그를 회복시켜 주십시오."라고 기도합니다.
다윗의 범한 가장 큰 실수 중 하나는 압살롬을 회개하기 전에 데려온 것이었습니다. 얼마 후에 압살롬은 백성들의 마음을 얻으면서 그의 부친에게 반역할 음모를 꾸미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그는 그의 부친을 예루살렘에서 쫓아내고 자신이 그 자리에 올랐습니다. 그가 군대를 거느리고 다윗을 죽이러 나섰을 때에도 다윗은 그의 군사들에게 압살롬을 죽이지 말라고 일렀습니다. 그러나 요압은 생각을 바꾸고는(압살롬을 데려오자고 왕에게 권한자가 요압이었음) 압살롬을 살해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의 아들 딸을 비참한 삶 가운데 처하게 하시는 것을 바라보는 고통을 기꺼이 견디는 부모들은 종종 보다 큰 슬픔을 면하게 됩니다.
'매일의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의 묵상 03월 22일 (이 마음이 네게 있는 것이 좋도다) (0) | 2023.03.22 |
---|---|
매일의 묵상 03월 21일 (노를 찬송으로 바꾸시는 하나님) (0) | 2023.03.21 |
매일의 묵상 03월 19일 (하나님을 돕지 아니하면) (0) | 2023.03.19 |
매일의 묵상 03월 18일 (다른 사람을 위해 사는 삶) (0) | 2023.03.18 |
매일의 묵상 03월 17일 (주님의 인도를 구할 때 우리의 자세) (0) | 2023.03.17 |
댓글